본문 바로가기

경제/Basic:기본

[주식초보기초]_캔들이 만들어 지는 원리 (1)_기술적분석 기초

반응형

캔들이 만들어 지는 원리(1)_기술적 분석 기초


우리는 주식을 시작하게되면 차트를 수없이 보게되고 차트를 읽지 못하면 주가의 흐름또한 예측할 수 없게됩니다.


이에 기술적 분석이라는 분석방법이 생기게 된 것이고 기술적 분석의 기초는 캔들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술적 분석이 생기게된 역사와 이유는 다음기회에 알아보도록 합시다.)


캔들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시장에 진입한 참여자들의 활동 다시말해서 '군중의 심리'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는 크게 2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해당 주식을 사려하는 매수자, 보유한 주식을 판매하려는 매도자

이 두분류의 세력들이 혹은 군중들이 힘을 겨루는 모습을 캔들에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매수자는 '이정도 가격이면 저렴하다'라고 생각하게 되어 해당 가격에 매수합니다.

매도자는 '이정도 가격이면 고가다(비싸다)' 라고 생각하게 되어 해당 가격에 매도하여 자신이 매수한 가격에서 차익을 실현하게 됩니다.


매수하려는 사람들의 심리가 강해지면서 주식들을 다량 사게되면 주가는 상승합니다. 반대로 매도하려는 사람들의 심리가 강해지면서 보유한 주식을 다량 팔게되면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즉, 공급과 수요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고 하락하는 것입니다.




캔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캔들이 만들어 지는 이유(군중심리)에 관해 기본개념이 잡혔다면 만들어 지는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캔들에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양봉음봉 입니다.


[그림1], 양봉과 음봉


상기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당일의 시가가 종가보다 크게 되면 양봉이 생성되며,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되면 음봉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즉, 시가<종가 = 양봉 / 시가>종가= 음봉 이 되는 것입니다.


시가란? 시장이 시작될 때의 시작 가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주가의 첫 가격을 이야기 합니다.

종가란? 시장이 종료될 때의 마지막 가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주가의 마지막 가격을 이야기 합니다.


예를들어서 시가가 1000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만약 이 가격이 싸다고 생각되면 어떤 세력들이 몰려 들겠습니까?

매수자들이죠. 이 매수자들이 마구 사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주가가 상승을 하게되고 결국 2000원이 되었습니다. 

이 때의 캔들의 모양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양봉을 그리고 종가 2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림2] 시가<종가 = 양봉

 

상기와 같은 [그림2]처럼 양봉의 캔들의 모양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이제, 반대로 주가가 2000원이 되자 '이정도면 가격이 비싸다' 라고 생각하는 매도자들이 몰려들게 됩니다. 

이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팔기 시작합니다. 매도자들이 많아져서 결국 주가는 1000원으로 떨어 지게 됩니다.

이 때의 캔들의 모양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머리속으로 한번 그려 보시죠.


[그림3] 시가>종가 = 음봉

[그림]3과 같이 주가는 매도세에 의해 하락하게 되고 결국 1000원으로 종가를 마감하게되어 음봉캔들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캔들이 만들어 지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하지만 주가차트에선 양봉가 음봉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죠 매수자와 매도자의 치열한 전투과정을 그려내게 되는데, 그로인해 [그림1]에서 볼 수있는 것 처럼 다양한 모양의 캔들이 형성되게 됩니다.


다음엔 캔들이 만들어 지는 원리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